발길 닿는대로

Walker Hill

La Vie En Rose 2015. 6. 23. 23:21

 

 

 

 

 

                    어릴적 워커힐 사진을 보며, 그곳의 명칭이 왜 워커힐인지 궁금하였다.

                 미군 찝차가 동네의 비포장도로를 먼지 날리며 지나가면

                 기브미 쪼꼬렛, 기브미 껌...정도만 외쳐대던 국민학교 시절.

                 아버지께서 사온 책에서 보는 워커힐은 딴나라 세상처럼 느껴졌다.

 

                요즘 김종필 전 총리의 笑而不答에서 어릴적 의문의 해답을 찾았다.

 

                워커힐 착공-->1962.3월초.   완공--->12월.

                당시 4층이었던 호텔이 현재는 15층으로 증축됨.

 

                건설 동기 : 1961년 10월 유엔군사령관이며 미8군 사령관인 멜로이 대장이 김종필 중정부장(당시)에게 제안.

                              우리나라에 주둔하고 있는 미8군 병력이 1년에 3만명이상 휴가를 일본으로 가고 있음.

                              만약 북한의 침공시, 복귀시간 지체로 전투준비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

                              전체 미군 5만6천명중 절반이 넘는 병력의 휴가인원을 한국내에서 수용할수 있는

                              리조트를 만들어 전투준비에 차질을 없애기위함.

 

                              김종필 중정부장의 주도로 공사시작.

                              공사자금 부족으로 육군공병대,군형무소의 죄수들까지 동원. 육해공군 해병대의 트럭이 지원됨.

                              미군 휴가병력을 뺏기게 된 일본에서는 미국에 로비까지함.

 

             워커힐 명칭: 1950년 6.25전쟁이 나던해 겨울  Walton. H. Walker 미8군사령관은  서부전선 정찰후 귀대중

                             운전병 실수로 도봉산 인근 골짜기에서 추락 사망.

                             워커장군을 기리기 위하여 워커힐로 명명.

                

 

                                        한강이 굽어보이는 광나루언덕 1만9천여평에 총공사비 6억5천만원이라는 막대한 경비를 들여 

                                        세워진 매머드 관광시설은 그 광대성 만으로도  과시할만 하다.

                                        UN군 휴가장병을 비롯하여 일반 외국인 관광객에게 국제수준에 손색없는 숙박,휴양및 오락

                                        의 종합시설을 제공하여 많은 외화획득을 하고있다.

                                        중앙의 네모난 건물이 주건물. 그밑의 한식건물은 민속관. 중앙 왼편은 힐톱 바.

                                        총 방수는 252개이며 1963년 이곳을 찾은 외국인수만 20여만명이나 된다. 

 

 

                                민속관. 단청으로 채색된 순 한식의 우아한 자태가 이채를 띤다.

                                요리전시회. 국악 연주, 민속놀이 등의 행사를 가지며 한식과자, 떡 등을 판매한다.

 

 

                            사진에 보이는 캉캉춤은, 예전 후라이보이 아저씨 쇼쇼쇼 의 오프닝 화면에서 보던 춤.

 

 

 

                      워커 힐 비치.  스크린에서만 보던 워터 스키가 씨잉 물위를 미끄러져가는 여기는 광나루의 워커 힐 강변이다.

                       비치 파라솔. 대형텐트등을 대여해주며 보트놀이는 한시간에 600원에서 부터 1000원까지.

                                  

                      워커힐이 개관한 63년 국내관광 외화수입 521만 달러중. 유엔군이 소비한 액수는 221만달러로(43%)

                      대부분 워커힐에서 사용. 

 

                                                                                           ---사진출처. 한국대관(사진은 1963년으로 추정.한국대관은 1964년 출판).

         

                                                          

                           워커힐 동영상.  대한뉴우스 제398호 워커힐 준공.

                 http://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305&mediadtl=2134&gbn=DH&quality=W&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