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History 2

부처산밑 박문학교.

La Vie En Rose 2019. 5. 26. 11:00





                               이전 하기 전 2013년도에 가 보았던 박문학교는 답동에서 옮겨온 천주교 인천 교구청으로 바뀌었다.







박문여자중고등학교

1940년 소화고등여학교로 개교.

1945년 인천박문여자중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56년 부평에서 부처산 밑으로 이전

2014~15년 동구 지역주민들의 적극 만류에도 불구하고 송도로 학교 이전

박문여자중고등학교 뱃지.

지금 생각해봐도 박문의 춘추복은 보기에 예뻣어!

어깨끈 달린 곤색 치마와  하얀 블라우스는 사춘기의 내맘을 설레게 했고...

거의 매일 보던 여학생. 겨울에는 진회색 오바코트를 입었던 여학생이 있었는데...


                       [2013년. 이전하기 전 사진]                                                                                        [2019년 5월 현재 사진]

                              예전과 달라진 점은, 건물의 외관 색상이 일부 바뀌었고, 운동장에 생긴 조형물과  가득 주차된 차량.

                                  


                                전에는 이자리에 농구 골대가 있었고, 백옥자 선수가 투포환 연습을 하던곳.

                          의자가 있어 동네 친구들과 자주 올라가서 앉아 쉬기도 햇었다.



                               내 어릴때는 계단 없이 올라갔었는데, 언젠가 생겨난 부처산 올라가는 계단.

                        



                                 올라와보니 제일 윗층의 교실이 바로 앞에 있다.

                           오른쪽의 급수대는 산에 올라온 학생들이 목이 마르면 물을 마시던 곳인가 보다.

                                  부처산 정상부근.  호젓한 오솔길. 

                           우리가 어릴때 수시로 올라오던 이곳은 잡초와 거친 나무들만이 있었다.

                                      부처산에는 따닥개비, 방아깨비,  여치, 벼메뚜기, 팥뚜기, 도마뱀, 양키잠자리, 풍뎅이...

                               각종 곤충이 있어 곤충채집과 식물채집은 항상 부처산에서.


                                  평평하고 넓직한 시멘트 바닥에는, 학생들이 모여 앉아 재잘거리며 얘기를 했을테지


                                조금 더 가면 선인중학교와의 경계 철망.  옛날 선인중학교 저 건물 있는 곳이 부처산 정상!


                          부처산은 일제시대 까지 산 주위에 99개의 부처가 삥~ 둘러서 있었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들었다.

                                                                                               (어릴적 어른들께 들은 얘기이다)

                                부처산에는 서쪽 꼭대기에, 겨울이면 잉크가 얼어서 펜으로 필기를 못 한다는 무선고교(현 재능학원), 

                                동쪽에는 성광고.남동쪽에 동인천중고. 그윗쪽으로 박문여중고,조금 내려와서 동산중고, 

                                동산중고 옆에는 서림학교. 성광을 인수한 백인협장군의 효열유치원을 비롯한  십여개의 학교...

                          특정한 지역에 이렇게 많은 학교가 있는 곳도 드믈것이다.


                          이와 같이 부처산을 중심으로 많은 학교가 세워진걸로 봐서 

                          풍수지리학적으로 학구열을 돋우는 지세라고 생각된다. 맞나? ㅎㅎ

                                    산에서 보는 학교 교실 뒷 모습. 예전에 어릴적 몰래 교실에 들어가서 백묵을 가져오기도 하고..

                             그러다 소사에게 들켰나?? 해서 정신없이 막 뛰던 생각도..


                                   운동장은 예전 모습이 전혀 없어 닟선 풍경.

                                                                                                          아래 사진은 2013년 운동장

                                                                            가운데 읜부분은 농구골대


                                                                           지금도 예전 그대로의 화강석 돌계단              


               좌,우 사진에 보이는 돌계단은, 같은 계단.

            노란색 화살표 아래에 계단 제일 높은곳 우측 끝부분에 살짝 튀어나온 돌의 모양이 같다. 

            뒤에 보이는 학교 교실은 60년대말,70년대초에는 오른쪽 사진과 같이 2층 건물이었으나

            후에 증축하고(왼쪽 사진, 5층) 건물 꼭대기에 삼각형으로 멋을 내어 외관을 보기 좋게 하였다. 


               왼쪽 사진은 며칠전 찍은 사진.   오른쪽 사진은 거의 50년쯤 된 ...

            60년대말 또는 70년대초 사진으로 대학2~3학년쯤 찍은 형(지금은 하늘나라 별이 된) 사진.

               세월이 많이 흘렀어도 변함없는 돌계단. 

            예전에는 소사(현,경비)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학교에 드나들었다.



                                 학교가 없어진후 , 굳게 닫힌 문구점.


                                    박문학교 담장.


                          박문학교와 쿼바디스 링크---> http://blog.daum.net/leejoosd/1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