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에어콘 AS와 손목시계 AS

La Vie En Rose 2019. 7. 13. 09:25





 

                1주일전, 에어콘 가동 할 때가 되어 밖의 실외기를 보았다.

                 전선과 배관을 감싸고 있는 테이프가 벗겨지고 삭아서

                 볼썽사납게 바람에 휘적거리며 날린다.

                AS기사왈 테이프는 3~4년이면 삭습니다.

                 이보슈! 에어콘 바꾼지 4~5년밖에 안됐고

                 교체 하기전의 에어콘 실외기 테이프는 20년이 됐어도 멀쩡했다.

                 기사는 재차 3~4년이면 테이프가 삭게 된다고 한다.

                 참으로 어이없는 답변 이로고.

                 실외기 테이프의 수명이 3~4년이라면 누가 믿을까?

                 테이프가 삭고 벗겨지면 보기에도 안좋지만

                 냉매 개스에도 분명 영향이 있을텐데 말이다.

 

                 엊그제 에어콘을 켯더니 냉기없이 바람만 나온다.

                 지난번과는 다른 AS기사가 하는 얘기...

                 실외기 내부 자재 노후되어, 냉매 부족하므로 자재교환을 해야 한단다.

                 교체전 20년간 사용했던 에어콘과 실외기는 교체시까지

                 전혀 문제 없이 사용했는데, 요즘의 에어콘 실외기는

                 휴대폰처럼 수명이 4~5년인가 보네! 진짜 웃기지도 않는다.

                 요즘엔 제품개발 또는 자재변경시 신뢰성시험도 안하나?

                 실외기 테이프는 수명 3~4. 실외기수명 4~5.

 

                 예전 신입사원시 외부교육시 들었던 강의 내용이 생각났다.

                치약회사 사원의 아이디어.

                 치약의 누출구를 넓게 하면 매출이 늘어날거라는...

                 넓게 했더니 예상이 들어맞아 치약 판매량이 늘었다고 한다.

 

                 원가 절감을 위해 값싼 테이프와 값싼 실외기 자재를 사용하면

                 회사 이익이 증대되고 AS비용도 올리고 일거양득이네.

 

                 지난주, 6년이나 차고 있는 세이코 손목시계 배터리를 교환했다.

                 시계 구입시부터 배터리 소모시까지 시계는

                 내게 믿음을 주는, 오차없이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었다.

                 정식 AS센터에 지불한 배터리 교환비용 2만원이 전혀 아깝지 않다.

 

                에어콘 AS비용 10만원이 넘는 돈을 지불하고서도

                돈이 아깝고 떨떠름 하다.

                우리나라 초일류기업에서 만든 에어콘. 실외기에 소요되는

                테이프와 자재는 언제쯤 되어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수 있을까?

                원가절감에만 신경쓰지 말고 신뢰성있는 자재를 사용하고,

                자재변경시, 수명시험이나 시간을 단축하려면 가속수명(加速壽命)시험

                이라도 해서 신뢰성을 확보하고 변경하던지...

               시계 배터리 교환한 비용처럼  에어콘 AS 바용이 아깝지 않게 할수는 없나?

                며칠새 연이어 에어콘 AS 두번을 겪고 난후 한심하고 답답해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떠나가는 백운주택  (0) 2019.07.02
들을만한 노래와 재미없는 이야기  (0) 2019.05.08
"수국" 뽑아 가신분 잘 키우세요.   (0) 201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