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닿는대로

선창과 8부두

La Vie En Rose 2019. 5. 19. 10:45









월미산에서 보는 8부두.  예전의 선창(인천항) 


                                                               인천역에서 왼쪽으로 십여미터 쯤 가면 예전 선창 가는길.

                                                               당시, 인천사람들은 인천항 보다는 선창으로 불렀다.

                                                               국민학교 시절? 빠깨쓰 들고 어머니를 따라 선창으로 가던길.

                                                               지금도 이곳을 지날때면 오래전 선창 가던 생각이 나곤 한다.

                                                               아마, 선창에 생선이나,새우를 사러 갔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고등학생 이후, 새우는  소래포구로 사러 갔었다.

                                                               김장 계절이 되면 소래 운행 버스 안은 새우젓 냄새가 진동했다. 



                                                                                             사진은 60년대 선창(인천항)


인천의 선창(船艙).  이글거리는 8월의 태양아래 선창은 오르내리는 인파로 사뭇 붐빈다.

크고 작은 배들이 엔진소리를 통통거리며 쉴새 없이 들어오며 나간다.

연락선 매표소에는 유선도, 팔미도, 난자도, 덕적도 또는 멀리 변산이나

만리포등으로 피서객을 부르는 해수욕장 안내 간판이 크게 내 걸려 있다.

원유(遠遊) 의 차비를 차린 학생 모습도 눈에 띤다 .


각양 각색의 사람과 짐들이 모이고 흩어지는 선창은 활기넘치는 인천시의 심볼인 듯 하다. 

                                                     [한국대관]


                                          하인천. 선창(인천항)의 60년대초 사진. 앞에 보이는 섬은 월미도.    

                                          여객 승하선및 어선들 모두 이곳에서 출항,기항 하였고,어시장도 이곳에 있었다.

                                          고등학생 시절 만리포 캠핑시의  은하호도 이곳 선창에서 승선.

                                          1974년 여객선과 어선이, 다음해인 75년에는 어시장 까지 모두  

                                          연안부두로 모두 옮겨간 후 하인천 인근 지역은 급격히 쇠락하였다.


위 사진에서의 재미있는 점...

여자는 나이에 관계없이 모두 치마를 입고,

선창에서도 남녀 학생들은 교복을 입었다.

모든 학생들이 평상시 교복을 입는것은 아니었으나

물자가 부족했던 시대에, 교복은 아무때나 입을수 있는 요긴한 평상복이 아닐수 없었다. 




                                                                              현재의 8부두 (예전 선창이었던 곳). 앞에 보이는 섬은 월미도.



                                           인천항에 현대적인 항만시설을 갖추기는 1900년에 개통된

 우리나라 최초의 제물포와 노량진간 경인 철도 부설과 1918년에 갑문식 제1도크를

     만들어 본토와 월미도 간의 약600미터에 이르는 돌제(突提) 를 축조 하면서 부터이다.    


축항 갑문

일제는 한반도 수탈과 대륙 침략 전진기지로 인천항을 중시했다.

조병창을 비롯 국산자동차 공장, 조선기계제작소,동양방적,풍국제분등

각종 군사시설을 인천에 집중 배치했다.  

1918년 축항 완공르로 일본군함과 기선은 

                                          갑문을 통하여 출임하며 식민 침탈을 수행하였다.                  -제물포구락부

                                                                      

                               월미도 둑길                    

축항 건설후 갑문 앞으로 밀려드는 한강 하류 물살을 막고 교통편의를 위해

1922년 대한제분 정문 앞에서 월미도까지 약2km, 2차선 둑길을 만들었다.

                  둑길 개통전에는 옛 세관 잔교에서 나룻배를 이용하였다.               


일제시대 월미도


소월미도.

월미도에서 바라 본 모습. 개항기 제국주의 열강들이

이 섬을 차지하기 위해 다툼을 벌였다.

그에 따라 석탄, 석유창고 등이 세워졌다.

1903년 6월 인천 소재 해관등대국이 완공한 등대가 서있다.

1904년 제물포 해전때는 러시아 함정들이 이 섬앞에서 자폭 했었다.

                                                  - 제물포 구락부


부두근처 앞을 가로막는 나무가 빽빽한 조그만한 섬이 월미도이고,

 그 왼쪽에 조금 떨어져 숲이 우거진 곳이 소월미도로 인간이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미 섬이 아닌 섬으로 되어버린 곳이다.


부두로 돌아오면 여기저기에 어업조합의 간판들이 보이는데,  여기가 소위 돗떼기 시장이다.

                                              즉, 하루에 두차례씩 들어오는 고깃배를 따라 흥성거리는 어시장이다.                                                     

                                            - 한국대관

인천항 전경

빽빽하게 들어선 왜식 건물들이 일본 소도시를 연상케 한다.

1920년 당시 인천 인구의 절반 가까이 일본인이었다는 사실을 보면

이같은 풍광이 이상 할것도 없다.

우측 상단 우거진 숲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공원인 각국공원(현,자유공원)



인천항, 선창.  인천

김구선생이  일제에 의해 인천감리서에 투옥중, 인천항 축항작업에 노역을 하였다고 한다

노역을 한곳이 지금은 없어진 이곳 인천항.  

                                                                                                                                  



                                                                                                                                              8부두 창고와 창고 내부.

                                                                  내부가 엄청나게 넓어, 앞으로 공연및 전시를 비롯, 쓰임새가 많겠다.




                                        오래전에 시작했으나, 부실공사로 인하여 말많고 탈많은..

                                인천역에서 월미도 일주 모노레일의 시험운행.



                                                  인천역 주변의 선구, 어구 관련 점포들. 아직도 많은수의 점포들이 있다.

                                                              예전같은 호황이 없어서인가 ...몇군데는 문을 닫은 곳이 보이기도 하고.


























'발길 닿는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광역시 초중학교 야구대회  (0) 2019.06.02
류현진 거리 - 동산중고등학교  (0) 2019.06.02
용화선원 - 초파일  (0) 2019.05.14
지난 주말 월미도, 선창  (0) 2019.05.03
낙산  (0) 2019.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