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닿는대로

하인천

La Vie En Rose 2018. 12. 15. 17:58






                                  인천역 밎은편. 요즘 보기 드문 필름카메라를 취급한다는 해당화 사진관




                                                                      예전에 많이 보던 로케트 밧데리








                                                                                      만석동 우체국


                                                                          만석, 북성동우회???   무슨 동우회....


                                                               코카콜라,  킨사이다.


                                                                   50년 전통 할머니 쭈꾸미.


                                                                    70년대 우리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여성 노동운동의 시발점 동일방직 정문.

지금은 공장이 멈춘지 오래 되었는지 출입하는 사람이나 차량도 없다.

이곳 역시 다른 공장들 처럼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로 가지 않았겠나...


일본의 경우, 일본 최대 재벌은 옷을 만들어 파는 유니클로 라던데,

사양산업으로 분류되는 의류사업이 일본에서 번창한 이유가 무엇인지??

우리나라는 일단 값싼 노동력을 확보할수있는 해외로 이전부터 하고있다.


70~80년대 힘들게 근무하며 적은 급료를 받던 우리나라의 현장 근로자들.

이제 웬만한 큰직장은 미국,영국,일본등 선진국보다 급료가 높다

급료가 높으면 그에 걸맞게  생산성도 높아야 하지만 생산성은....

그러함에도 수시로 분규를 일으켜 근로조건 완화및

경영간섭, 급료인상, 최근  밝혀지고 있는 가족 또는 친척의 사원 채용은 문제가 많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도 아니고, 조선시대의 양반 상놈 대물림도 아닌데

일부 공기업,대기업의 인사채용은 옛날 옛적의 씨족사회를 연상케 한다.


70년대, 신문을 봤던 기억으로 일본에서도 봄이면(급료 인상시기) 춘투(春鬪)가

있었지만 그리 긴 세월이 아니었던걸로 기억된다.

오래전부터, 지속적이며 수시로 농성및 파업을 하는 우리나라와는 다르다.

(일부의, 돈많이 받으면서도 문제많은 공기업과 대기업의 이야기이다)



공장 내부의 동상은 짐작컨데 동일방직 설립자로 보인다.





                                        동구에서는 비어있는 이 공장을 문화공간 활용을 위한 방안을 찾으려 한다고.




                                창문을 보니 문득, 예전 요란하게 돌아가던 방직기 소리가 안에서 들리는듯 하다.

                                한 여름이면 먼지 이는  답답한 실내로 시원한 바람이 들어가기도 햇을 콧구멍 같은 창문!

                                   일제때부터 이어온 방직공장의 역사가 묻어나듯... 담벼락에 단단히 붙어있는 굵직한 담쟁이덩쿨.                                

                            현장여공들의 생활력이, 거친 담벼락에 단단히 뿌리내린  덩쿨처럼 보였다. 


                           오래전, 내가 근무하던 회사에서도 현장 근로자인 여공들의 근무환경은 좋다고 할수없다.

                           1년내내 12시간 맞교대에 끊임없이 컨베어가 돌아가는 근무환경에서도

                           한푼이라도 더 벌려는 여공들의 생활력은 대단하였다. 대부분 지방에서 올라온 

                           여공들은 자취를 하며 제대로 먹지도 쉬지도 못하였다.

                           어쩌다 잔업이나 특근에 명단이 들어가있지 않으면 직장(Line장-->Supervisor)에게 달려가

                           왜 명단에서 누락시켯냐고 항의하기도 하고, 추석, 설날연휴가 끝나고 귀사시에는 직장의 책상에는

                           과일을 비롯하여 지방특산물이 한가득 쌓이던 시절이었다.

                           (직장에게 잘보여야 잔업,특근에 누락되지 않으려고)

                           회사에서도 현장의 근로자들에게는 많은 편의를 베풀어 주긴 했으나 .......오래전 이야기다.

                           요즘의 복지와 비교하면 격세지감.

                                      그제 내린 눈 을 이고 있는 화도진 기와지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