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닿는대로

주안염전 -3. 우리들의 놀이터

La Vie En Rose 2019. 4. 11. 18:00





                               길이 4km, 폭 2km의 주안염전.

                         화강암으로 쌓은 제방의 염전은 끝없이 넓어 보였다.

                         개건너다리(인천교) 넘어서 부터는 비포장 도로 양쪽에 쭉쭉 뻗은 미루나무가  

                         사열하듯 서있고,가끔 황토 먼지 날리며 자동차가 달릴뿐 한산한 길이었다.


                         동네 친구들과 경사진 화강석 뚝에 앉아 대나무 낚싯대를 내리면

                         몸통에 짙은 줄무늬가 선명한 기름망둥이가 올라왔다.


                         작은 새우가 펄쩍이며 뛰어 오르는 염전 가장자리는 얕았지만

                         안으로 갈수록 깊이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깊어져

                         여름방학때는 물귀신이 사람을 잡아가는 일이 자주 있었다.

                         개학후 교실의 빈자리는 그로 인한 것으로

                         특히 인천교가 있는 6염전에서의 사고가 믾았다고 한다.

                         당시는 1구염전,2구염전이 아닌 1염전,2염전... 8염전이라고 불렀다.


                         어렸을때 친구들과 소래염전,낙섬,군자염전까지 다녔지만 가까운 주안염전을 즐겨 찾았다.

                         주안염전을 가려면 부처산(흔히 부채산으로 불림)으로 올라가

                         꼭대기에 비석이 있는 산소들을 지나 쑥골을 거쳐서 갔다..


                         부채산에는 풍뎅이,메뚜기,잠자리,도마뱀이 많아 여름방학 곤충채집에 딱 맞는 곳이었다.

                         부채산에서 내려가는 도중, 산밑 가까이 과수원에서 과일서리도 하면서...


                                                      2011년에 찍은  부처산 정상. 현재는 선인중 건물.

                                                      2011년 찍은 사진.  동산중고교에서 본 부처산-중앙에 보이는 곳. 


                        동산학교 뒤에서 인천교가는길.

                        인천교 다리밑은 항상 바닷물이 넘실거렸는데, 

                        어느날인가.. 썰물로 바닷물이 모두 빠져 나갔다.

                        물이 빠진 뻘에는 사람  발자국 속에 커다란 붕어와 물고기들이 못빠져 나가고 펄떡 거렸다.

                        처음 보는 장관에 소리를 지르며 물고기를 주워 담았다.

                        다음에 올때는 많이 담을수 있는 빠깨쓰를 가져오자고 하면서...

                        요즘 생각해 보니 선포산 또는 그동네의 마을에서 내려오는 민물과 바다에서 올라온

                        바닷물이 섞여지는 기수지역이었다

                                                                      아래 동영상은, 십정동에서 물고기 잡던 얘기를 하는 동네 주민



                        박문학교 담을 돌아 도화동성당을 끼고 왼쪽으로 가면(지금은 그길이 막혀져 있다)

                        하얀건물의 성광학교를 보며 내려가는 길도 있었다. 



                                    1958년 숭의동 성애원 침례교회 빨래터에서. 왼쪽산은 부처산. 

                                              가운데 옆으로 흰 건물은 선인학원의 전신인 성광학교. 

                                              오른쪽 굴뚝은 와룡양조장 공장 굴뚝                                                                  

              사진출처 - 미국에 계신 dbyok님 협조.


                         제물포역 엉성한 철조망 개구멍으로 들어가

                         기차를 빌려 타고 주안역에서 내리자 마자

                         역무원에게 안 잡히려고 있는 힘을 다해 뛰어갔던 주안염전.

                         주안역 뒤에는 논이 있었고, 논 뒤쪽에 염전이 있었다.

                         한번은 역무원에게 잡혀서 하꼬방 같은 역사 바닥 청소를 한적도 있었다.


   아래 사진은 친구의 아버지께서 1956~1958년 사이에 찍은 사진. 사진에 보이는 기차. 오른쪽으로 10여미터만 더 가면 주안역이라고 한다. 

   염전은 기차 선로 넘어 있어서 사진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당시, 친구네 집은 주안역 남쪽에서 역과의 거리 약20미터 지점에 살았다고 한다. 

   아랫쪽에 초가집이 보인다.,.아마 이집이 친구네 집이 아닐까 하는 생각. 지난주 친구네 방문시 서너살때 집앞에서 찍은 사진을 보니 초가집이 보였다.


                             


                         2002년 월드컵이 있던 해. 간석홈플러스가 생겼다.


                         그자리는 오랜 기간 (주)금호의 소유로,시멘트 블럭 담장 속의  넓은 부지에는

                         항상 고속버스 대여섯대가 세워져 있던 곳이다.

                         요즘 처럼 우후죽순 세워지는 박물관. 소금 박물관은 아랫녘 어딘가 엉뚱한 곳에 있다던데...

                         국내 최초의 천일염전이 시작된 곳에, 홈플러스가 아닌 소금염전 박물관이 세워졌으면

                         최적의 합당한 장소였을 것이다.

                         역사적인 사실은 그 장소를 벗어나면 별 의미가 없는데..!


                         이제는 흔적을 찾을 수 없는 한국최초 천일염이 시작된곳.  

                         표지석 마저 허름한 공장들 틈사이 잘 보이지도 않는

                         어두운 곳에 방치되어 바로 앞을 지나는 행인조차 모르고 지나간다.

                         숨겨져 눈에 띄지 않는 표지석만이, 

                         이곳이 한국 최초의 천일염전이 시작된 곳임을  말해주고 있다.